- 기본 정보
교육 명: 한 뼘 빠른 마케터의 기획법 :패스트캠퍼 데이터 및 트렌드 분석으로 쓰는 카피, 그리고 센스
- 교육 목표
디지털 마케팅 환경에서 고객의 주목을 끌고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카피라이팅 전략 습득을 목표로 교육에 참여하였습니다.
특히, 다양한 카피라이팅 기법과 디지털 채널 특성을 고려한 실전형 카피 설계법을 배우고자 하였습니다. - 교육 내용 요약
카피라이팅의 개념과 역할
: 단순 문장 작성이 아닌 타겟에 맞는 전략적 메시지 설계
핵심 카피 기법 학습
: 문제 해결형, 일상 공감형, 증명형 등 다양한 카피 기법 습득
디지털 마케팅 맞춤 전략
: 총량 강조, 상황 강조, 부정적 톤 활용, 멋진 비틀기 등
상세페이지/CTA에 적합한 문장 구성법
: 감성적 메시지와 성과 중심 카피의 균형 이해
카피 실수 유형과 마인드셋 점검
: 피노키오형(과장), 자의식 과다형, 조사 부족형 등
- 교육 전과 후의 변화
교육 전
광고 문구는 ‘센스’나 ‘감각’으로만 만드는 줄 알았음
카피 작성 시 항상 ‘감성적 문장’에만 치중하거나 일관된 패턴을 벗어나지 못했음
교육 후
-타겟 분석과 구조적 설계가 카피의 핵심이라는 걸 명확히 이해함
-채널 별 최적화 카피 구성 방식 체득
-다양한 기법을 상황별로 전략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됨
- 학습 내용의 활용 계획
실무 캠페인에서 다음과 같이 적용할 계획입니다.
프랜차이즈 창업 광고
‘총량 강조’ 기법을 활용하여 창업비용, 시간, 수익 등을 수치로 구체화
→ 예: “하루 2시간, 월 순이익 500만 원”
‘상황 강조’를 통해 타겟 세분화
→ 예: “1인 창업을 고민하는 직장인에게”, “투잡 찾는 40대 가장이라면”
‘부정적 톤’을 활용한 클릭 유도
→ 예: “돈 못 버는 창업? 이런 분은 클릭하지 마세요”,
- 느낀 점 및 개선사항
느낀 점
그동안 경험적으로 카피를 작성해왔다면, 이번 교육을 통해 논리적 근거와 전략적 구조를 바탕으로 카피를 작성하는것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.
특히 병원 광고에서는 고객의 심리와 문제 인식을 전제로 한 문제 해결형 구조가, 프랜차이즈 광고에서는 총량 강조 + 상황 강조가 유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
개선사항
병원 광고나 프랜차이즈 창업 광고의 실제 광고 소재 사례를 더 많이 다뤄볼 수 있었다면 바로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 같습니다.
다양한 업종에 대한 구체적인 ‘before & after 카피’ 사례도 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.
- 기타 (선택)
이번 교육을 통해 소비자 관점에서 고민하는 마케터의 본질적 역할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.
앞으로는 단순한 문장이 아닌, 전환을 설계하는 카피를 만들기 위해 꾸준히 분석하고, 다양한 유형의 문장을 직접 써보며 역량을 확장해 나가겠습니다.